Home ComputerHow to 조립 How to 조립(3) : 업무 & 멀티미디어 컴퓨터

How to 조립(3) : 업무 & 멀티미디어 컴퓨터

by 짤막한글

How to 조립 시리즈는 여러 편의 글로 나눠 작성될 예정이다. 어떤 분야의 작업을 하든, 컴퓨터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고 어떤 부품이 어떤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상세히 파고드는 글이 될 것이다. How to 조립 시리즈의 목표는 모든 사람이 본인에 맞는 자기만의 컴퓨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각 분야별로 편을 나눠 작성할 예정인데, 주로하는 작업 한 편만 보고 구입하기 보다는 본인이 하는 모든 작업에 해당하는 편을 모두 읽은 후에 구입 결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시리즈 목차

0. How to 조립(0) : 브랜드 컴퓨터 절대 사면 안되는 이유

1. How to 조립(1) : 컴퓨터 알고 구입하자

2. How to 조립(2) : 컴퓨터 부품에 대한 이해와 선택 순서

3. How to 조립(3) : 업무 & 멀티미디어 컴퓨터(현재)

4. How to 조립(4) : 게이밍 컴퓨터(작성 예정)

5. How to 조립(5) : 사진 작업용 컴퓨터(작성 예정)

6. How to 조립(6) : 영상 작업용 컴퓨터(작성 예정)

7. How to 조립(7) : 프로그래머용 컴퓨터(작성 예정)

8. How to 조립(8) : 인공지능 학습 컴퓨터(작성 예정)

9. How to 조립(9) : 디자인과 쿨링(작성 예정)

10. How to 조립(10) : 구매 업체 선정 및 사후 관리(작성 예정)

11. How to 조립(11) : 결론 및 기타 사항(작성 예정)


들어가며

인터넷, 문서작업, 동영상 시청 등 가벼운 작업을 위한 컴퓨터는 30~40만원 대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이상의 사양을 구성해도 별로 체감이 되지 않는다. 특히 CPU나 그래픽카드가 필요이상으로 들어갈 경우 쓸데없이 돈 쓰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현 시점에서 5~6년 정도 사용하기에 적합한 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사양으로 구성해보고자 한다.


표준 사양

아이코다 견적 시스템 / 견적번호 : 1231600
  • CPU : AMD Ryzen3 2200G
  • RAM : 삼성전자 DDR4 PC4-21300 4GB * 2EA
  • 메인보드 : 기가바이트 GA-A320M S2H 듀러블에디션
  • SSD : ADATA SU650 240GB
  • 케이스 : ABKO NCORE NBOX 탱고(디자인 우선) or 3R Sys R-BOX 300(쿨링 우선)
  • 파워 : 기가바이트 PW400 80PLUS WHITE

가격 301,970원(조립비 및 배송비 별도)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들어 쿼드코어가 보급형 라인업으로 등장하면서 비약적인 성능 향상이 있었는데, 그 결과 더 이상 일반 사무용이나 멀티미디어용 컴퓨터에 중급이상의 CPU를 장착해도 체감하기 어려워졌다. 또한 그래픽카드의 경우도 예전부터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했었기 때문에 유의깊게 봐야할 점은 딱 두가지이다. RAM과 SSD이다.


RAM

삼성 서버용 ECC RAM

RAM은 사무용 견적에서 흔히 4GB 1개 정도 장착하곤 하는데, 현재로서는 넉넉하진 않아도 쓸 수 있는 수준이지만 5~6년 정도 사용할 예정이라면 당연히 4GB 2개를 장착하여 8GB 용량은 되어야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램은 반드시 듀얼채널로 구성하고, 다른 이상한 램 사지말고 삼성 DDR4 PC4-21300 제품을 선택하면 된다.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할 때는 그냥 사용하면 되며, 롤이나 오버워치 등 가벼운 게임을 즐기고 싶은 경우 램 오버클럭을 적용해주면 된다. 일반 용도와 다르게 내장 그래픽의 경우 램 속도가 성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삼성 단면램은 기본 클럭 2666MHz에 오버클럭은 국민오버 수준인 3200MHz CL16까지 무난하게 적용이 되고 오버클럭시 약 10 ~ 20%의 게이밍 성능 차이가 난다. 램 오버클럭은 링크의 영상을 참고해서 하길 바란다.


SSD

삼성 970 EVO Plus

SSD는 다양한 옵션이 있다. 표준 견적에서는 ADATA SU650이 들어갔는데, 디램리스 제품이다. 디램리스 제품이 일반적으로 SSD 중에서 성능이 떨어지는 편인데, 단순 사무 및 멀티미디어 용도로는 디램이 있는 제품과 체감이 크게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ADATA가 꽤나 업력 있고 평이 좋은 브랜드이기 때문에 디램리스 제품이라도 기본이상은 해주는 편이다.

예산이 넉넉하다면 1 ~ 2만원 정도 더 투자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WD Blue 3D SSD 250GB 제품이 무난하며, 삼성 860 EVO도 선택지로 둘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WD Blue 3D SSD 정도로 타협할 것 같다.


케이스

ABKO NCORE NBOX 탱고

표준 사양에서는 미니타워 제품인 ABKO NCORE NBOX 탱고 제품과 3R Sys R-BOX 300 제품이 들어갔다. ABKO 제품은 후면 쿨링팬 80mm 1개 밖에 없지만 일반적으로 과열될 일이 없는 용도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디자인도 준수하다. 3R Sys 제품은 전면 메시 구조에 후면 쿨링팬 120mm 1개가 장착되어 이 정도면 간단히 게임도 같이 즐기는 유저한테도 추천할 수 있다.

이 정도 급에서 케이스는 쿨링보다는 디자인 위주로 선택하면 되기 때문에 추천 케이스가 아니라도 m-ATX 메인보드 지원하는 미니타워 중 마음에 드는 제품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마치며

사무 및 멀티미디어를 위한 컴퓨터는 ‘한번 살 때 좋은 것을 사자’보다는 적당히 30만원대에 구입해서 4~5년 지나면 새 컴퓨터를 구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표준 사양에서도 오래된 게임이나 롤 정도는 돌릴 수 있는 사양이 나오는데, 게임을 위한 컴퓨터에 대한 것은 다음 편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You may also like

Leave a Comment